본문 바로가기

연구실33

태권도와 전자호구 전자호구가 도입된 이유는 간단하다. 태권도 경기에서 판정에 문제가 많았던 것이다. 공정성이 결여된 경기는 관중의 외면을 받게 되고 관중의 외면을 받는 종목은 지속하기가 어렵다.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대회에서도 태권도의 편파 판정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었나 보다. 급기야 올림픽 퇴출 1순위로 거론되던 태권도는 올림픽에서 살아남기 위해 IOC의 요구에 따라 공정한 경기를 위한 절치부심하게 된다. 아래는 기사를 바탕으로 전자호구가 도입되는 과정을 정리한 내용이다. 2005년 세계태권도연맹에서 전자호구에 대한 논의가 일어나던 시점이다. - 07월 20일: 제1차 전자호구 시연회가 열렸다. 2006년 - 03월 25일: 제2차 전자호구 시연회가 열렸다. (경희대학교 농구장) - 09월 11일: '라저스트'와 5년간 .. 2020. 3. 18.
금강막기 유단자 품새 '금강','평원'에는 '학다리서기 금강막기' 동작이 있다. 다른 품새에서도 금강막기류가 있지만, 이것의 응용 동작이다. 그러니 오리지날(?) 금강막기가 무엇인지 살펴야 한다. 금강막기 Geumgangmakgi ‘올려막기’와‘내려 옆막기’또는‘바깥막기’로 이루어지는 기술. 금강역사상의 모습에서 이름 붙인 기술로서 상대방이 얼굴과 몸통 또는 아래를 동시에 공격하여 올 때, 한쪽 손은 얼굴을 올려 막으며 다른 손은 내려막거나 몸통을 바깥 막는 기술로서 손날로도 할 수 있다. ▶ 금강 (내려 옆)막기 ▶ 금강 바깥막기 ▶ 손날 금강 (내려 옆)막기 ▶ 손날 금강 바깥막기 출처: 국기원 태권도 기술용어집 자 그렇다면 실제 금강역사상과 비교해보자. 헉 똑같다. ^^ 2015. 5. 11.
큰돌쩌귀, 작은돌쩌귀 금강 품새에 보면 '큰돌쩌귀' 동작이 있고 다른 품새에서도 '작은돌쩌귀' 동작이 있다. 말 뜻을 명확히 모르고 지내다 급 궁금해져서 찾아봤다. 돌쩌귀 [명사] 문짝을 문설주에 달아 여닫는 데 쓰는 두 개의 쇠붙이. 암짝은 문설주에, 수짝은 문짝에 박아 맞추어 꽂는다. [비슷한 말] 문 돌쩌귀. 돌쩌귀는 경첩(Hinge)의 순 우리말로 문이 닫힐 때 뒷사람이 부딪치거나 손가락이 문틈에 끼지 않도록 문에 다는 쇠붙이. 쉽게 생각하면 돌쩌귀는 한옥에 사용하는 재래식 경첩이다. 한글 돌쩌귀 = 한문 경첩 = 영문 흰지(Hinge) 굳이 차이점을 찾고자 한다면 돌쩌귀는 수짝이 달린 문을 들어서 떼어내기가 쉽다는 것이다. 계절이 바뀌면 창호지를 바르고 다시 달기 편하게 하기 위함이라 한다. 참고 자료 http://.. 2015. 1. 5.
사범은 굽실대면 안 된다, 사범은 굽실대면 안 된다. 어떤 지위에 있는 사람이라도 내 문하에 들어오려면 허리를 굽히고 들어 오게 해야 한다. 지나치게 비굴한 과잉 친절은 젊은 학부모와 아이들에게 잘못된 갑의 지위를 야기시킨다. 태권도장은 사범의 자존과 자신감으로 인간교육을 하는 곳간이다! - 강신철 사범님 페이스북 中- 2013. 10. 14.
팔괘 품새의 폐기와 태극 품새의 탄생 1968년 대한태권도협회는 품세 제정위원회를 구성하여 팔괘와 유단자 품새 총 17개를 확정한다. 1972년 기술심의회는 다시 품새와 용어를 제정하고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학교교과 과정에 삽입될 새로운 품새 태극을 제정하여 총 25개를 완성한다. 팔괘 품새 8개 태극 품새 8개 유단자 품새 9개 (고려, 금강, 태백, 평원, 십진, 지태, 천원, 한수, 일여) 팔괘 품새는 ~장 매김의 변화가 있다. 계간지에서 보인 팔괘 4장부터 8장까지가 난이도에 의한 장(場)의 자리바꿈이 보이는데 혼란스럽다. 4장이 5장으로 바뀌고, 5장은 8장, 6장은 4장, 7장은 6장 그리고 8장은 7장으로 이동이다. 8장은 품새선 ‘工’자가 ‘土’자로 바뀌었다. 이렇듯 팔괘 품새는 복희씨 팔괘의 철학적 의미 상실, 품새선 및 동작.. 2010. 11. 24.
최초의 태권도교본 대한태권도협회 1972년 12월 1일 발행인 대한태권도협회장 김운용 엮은이 기술심의회 의장 이종우 차례 태권도 정의 태권도의 발생과 형성 태권도에 필요한 역학적 풀이 예의 규범 지도상의 유의점 수련과정표 띠 매는 법 도복 접는 법 부록 대한태권도협회 규약 기술심의회 규정 및 대한태권도협회 위원 명단 출처: 무카스 2010. 11. 23.
롤링 니바 1. 상대에게 뒤을 잡혀있다. 2. 내 오른 다리를 상대 양다리속에 넣으면서 허리를 굽혀 왼팔은 땅을 집고, 오른팔은 상대 왼발의 아킬레스 건을 잡는다. (왼팔로 땅을 집는 이유는 쉽게 구르기 위해서임) 3. 머리를 깊이 숙여서 상대의 왼다리 바깥쪽에 붙이고, 땅을 집었던 손을 상대의 장딴지로 가져가고, 한발은 상대의 옆구리, 한발은 상대의 힙(Hip)에 둔다. 4. 양팔로 상대의 다리를 타이트하게 감싸안으면서, 상대의 힙(hip)에 둔 다리로 상대를 앞으로 민다. 5. 상대가 넘어지면 내 두 다리를 그림과 같이 피거포모양으로 고정하고, 내배를 상대의 무릎에 두고, 내 두팔로는 상대의 다리를 내쪽으로 당기면서, 무릎쪽에 있는 내 배는 위로 들어올려 상대의 무릎에 부담을 줘서 꺾는다. 2010. 3. 8.
태권도 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태권도 교육의 목적 올바른 가치관 강건한 신체 자신감 있는 생활 태권도 교육의 실천 목표 1. 예의바른 생활 1) 생활예절의 실천으로 올바른 가치관 형성 2) 협동과 봉사 정신으로 공동체 의식의 함양 3) 용기와 자신감 넘치는 적극적인 생활 태도 2. 강인한 심신 1) 체계적인 체력 훈련으로 충실한 성장 발달 2) 합리적인 전신 운동으로 균형잡힌 몸매 3) 건강한 신체에 깃드는 강인한 정신력 3. 남다른 특기 1) 세계인으로써 인정 받는 태권도인 2) 폭력과 사고 위험의 극복 능력 3) 학교와 사회생활에서 돋보이는 리더십 태권도 교육과정별 목표 1. 초급 교육과정 목표 1) 인성: 나쁜 습관을 고치고 자신감을 기른다. 2) 체력: 또래 집단에서 상위 30%안에 든다. 3) 기술: 기본동작과 기술을 익힌다.. 2009. 10. 2.
국기(國技) 태권도 초등학생들은 모른다. 아마 중·고등학생들 중에도 상당수는 모를 것이다. 국기(國技)가 있는 줄도.. 한 번 지르기는 "얍" 두 번 지르기는 "태권" 세 번 지르기는 "태권도" 다섯 번 지르기는 "국기태권도" "여러분 국기 태권도에서 '국기'란 뭘까요?" "....." 국기 태권도 國技 跆拳道 국기(國技) [명사] 한 나라 특유의 기예(技藝). The national sport The national art The national craftsmanship 기예(技藝) [명사] 예술로 승화될 정도로 갈고 닦은 기술이나 재주. 2009. 2. 10.
호신술을 사용하면 모두 적법한 것일까? 호신술을 사용하면 모두 적법한 것일까? 어떤 사람이 폭력이나 상해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호신술을 사용하여 상처를 입힌다면 어떻게 될까? 형법에서 위법성 조각사유인 정당방위에 해당하여 범죄가 성립되지 않는다. 그런데 모든 호신술 행위가 정당방위가 되어 죄가 되지 않을까? 그건 상황에 따라서 꼭 그렇지만은 않다. 그렇다면, 어떨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호신술을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죄가 될까? 서로 공격할 의사를 가지고 티격태격하다 주먹이 오가는 상황에서 국술 도장에서 배워온 호신 술기를 멋있게 발휘하는 경우에는 정당방위에 해당하는 호신술이 아니다. 단지 싸움의 기술로서 호신술을 사용한 것뿐이므로 폭행죄는 물론이거니와 상대가 상처를 입었다면 상해죄가 된다. 그런데 주먹으로 싸우는 도중 갑자기 상대.. 2009. 1.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