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64 태권도 위력 격파 시범 [2002년 북한 평양 공연] 공중을 날아다니며 화려한 발차기를 주로 선보이는 시범과 달리 오랜 수련을 통한 단련과 요령을 통해서만 보일 수 있는 위력 격파를 선보이고 있다. 아무래도 북한에서의 시범인 만큼 ITF 태권도의 실전성에 뒤처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준비한 시범이 아닐까 2008. 2. 7. 태권도 4방향 발차기 집중 훈련 [남창도장] 남창도장의 수련법 중 발차기 수련 방식은 참으로 다양하고 독창적인 듯하다. 언제 영상인지는 모르겠으나 남창도장의 수련생들이 선보이는 4방향 발차기 훈련이 참고할만하다. 2008. 2. 7. 이규형 사범님의 위력격파 격파 동영상을 수없이 봤지만, 그 누구의 격파보다 날카롭고 강력하게 가격하는 이규형 사범님 격파 요령보다는 오랜 수련과 단련을 통한 격파이기에 누구나 함부로 따라 할 수 없는 경지에 이르지 않았을까 2008. 2. 6. 이규형 사범님의 품새·격파 시연 [2002년 북한 평양 공연] 태권도 9단의 포스가 느껴지는 품새 오랜 수련의 흔적이 스며있는 일격필살 격파 2008. 2. 6. 1980년대 태권도 영상 태극 7장 역동적으로 보이는 1980년대의 품새 2008. 2. 6. 1956년도 태권도 영상 참으로 파괴적이고 실전적으로 보이는 과거의 태권도 영상 2008. 2. 6. 태권도 도복과 띠에 관한 조사 연구문 1. 서론 2. 띠의 역사 1) 서양 (1) 벨트(belt) (2) 새시(sash) 2) 한국 3. 태권도와 띠 1) 태권도의 품계 2) 음양오행 사상에 의한 띠의 분류 3) 전통성의 띠의 색깔 4) 태권도 급과 띠의 정립 4. 결론 1. 서론 해방 이후 보급되기 시작한 태권도는 경제성장의 속도와 발맞추어 그 인구가 늘어났으며 88서울 올림픽과 92 바르셀로나 올림픽, 그리고 96 애틀란타 올림픽을 거쳐오는 동안 스포츠로서의 가치와 우수성을 인정받아 2000년 호주 시드니 올림픽에서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태권도가 이렇듯 짧은 역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가라데와 중국의 우슈를 제치고 '올림픽 정식종목 채택'이라는 쾌거를 이룩한 것은 태권도 관계자들의 각별한 노력이 있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태.. 2008. 2. 4. 주위 환경에 따라 어린이들은 배운다. 만약 어린이가 비난 속에서 자라면 시위하게 되고 만약 어린이가 위협 속에서 자라면 싸우게 되고 만약 어린이가 두려움 속에서 자라면 수동적이 되고 만약 어린이가 질투 속에서 자라면 남의 것을 탐하게 되고 만약 어린이가 부끄러움 속에서 자라면 죄의식을 갖게 되고 만약 어린이가 참을성 속에서 자라면 인내력을 갖게 되고 만약 어린이가 격려 속에서 자라면 자신감을 갖게 되고 만약 어린이가 인정을 받으며 자라면 자부심을 갖게 되고 만약 어린이가 승인을 받으며 자라면 세상에 사랑이 있다고 믿으며 만약 어린이가 상을 받으며 자라면 목표를 세우게 되고 만약 어린이가 분배 속에서 자라면 관용하게 되고 만약 어린이가 정직과 공정함 속에서 자라면 진실 되고 정의롭게 되고 만약 어린이가 안전 속에서 자라면 자신과 주위 사람을 .. 2008. 2. 2. 태권도장 수업시간 수련생 관리 요령 1. 수업 분위기 조성 - 크고 즐거운 목소리로 가르치는 동안 억양에 변화가 많으면 좋다. 목소리의 강약에 변하면 수련생들은 집중한다. - 웃는 얼굴이나 평온한 모습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하고 복장과 두발 상태를 단정히 한다. 2. 긍정적 분위기 조성 - 단점이나 문제점을 지적하기보다는 좋은 부분을 찾아내어 칭찬하면 집중하게 된다. 3. 개인적 접근 / 개별적 접촉 - 반복적인 과정을 이끌어 가거나 전체 구령을 부르는 일은 수련생에게 각각 맡겨 스스로 하도록 한다. - 다른 사범(수련생)이 전체를 이끌어 가고 있을 때, 사범은 빨리 움직여 수련생 개개인에게 접촉하여 칭찬해 주고 교정해 주며 친밀감을 조성한다. 4. 구체적인 목표 설정 - 특별한 목표가 생기는 경우 수련생들의 집중력과 의지는 향상된다. - .. 2008. 2. 2. 웨이트트레이닝과 수영의 궁합 많은 사람이 보디빌딩과 수영을 병행 하면 좋지 않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헬스(보디빌딩)는 전형적인 무산소 운동이다. 이것은 신체 전체 근육을 주로 사용한다. 1. 무산소 운동 시스템이다. 2. 근비대를 주목적으로 한다. 3. 근육의 긴장을 원칙으로 한다. 이에반해 수영은 전형적인 유산소 운동이다. 1. 상체 근육과 하체의 약간의 근육을 사용한다. 2. 유산소 시스템이다. (단, 단거리는 무산소 시스템) 3. 전형적인 당기는 운동이다. 4. 근비대가 아닌 근지구력을 위주로하고, 근육의 이완을 원칙으로 한다. 이 둘은 아주 상이한 운동이다. 그것은 상호 보완적 운동이란 것이다. 흔히 이 두가지를 하면 근손실이 일어 난다거나 근비대에 좋지 않다고 말하는데 정말 웃기는 말이다. 수영으로 근손실이 일어날 정도.. 2008. 2. 2.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57 다음